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북한뿐 아니라 러시아까지 신형 핵무기를 대거 공개하면서 때아닌 군비 경쟁 벌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자세한 내용 정치부 김성진 차장과 뉴스분석으로 이어가겠습니다. <br><br>[질문] 푸틴 대통령이 의회 국정 연설에서 신형 핵무기를 공개했다고요? <br><br>TV로 생중계된 2시간 분량의 연설 가운데 40분 넘게 신무기 소개에 할애했습니다. <br><br>먼저 사거리 무제한으로 지구 어디든 때릴 수 있는 '핵 추진 순항 미사일' 발사 장면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또 마하 20의 중장거리탄도탄 재진입체 'RS-26 아방가르드', 항공모함이나 지상 표적을 극초음속으로 타격할 수 있는 '킨잘 미사일'도 선보였습니다. 이밖에 차세대 ICBM과 핵 추진 수중 드론도 과시했습니다. <br><br>[질문] 공상 과학 소설에나 나올 법한 무기인 것 같은데요. 실제로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잖아요. <br><br>전문가들도 처음엔 그래픽으로 그린 게임 같은 공상 아니냔 의구심 가졌지만 안타깝지만 현실입니다. <br> <br>과거 1960년대부터 구상했던 무기들인데 기술이 발전하면서 꿈만 꾸던 것이 이제 현실이 된 겁니다. <br><br>[질문] 그렇다면 왜 이 시점에 갑자기 군사력 과시에 나섰는지 궁금한데요. 푸틴 대통령의 속내를 어떻게 봐야 합니까. <br><br>우선 패권 경쟁입니다. 현재 러시아는 미국과 중국, G2에 밀려 뒷방에 앉아 있는 상황인데 아직 이빨 빠진 시베리아 호랑이가 아니란 걸 과시한 겁니다. <br> <br>[블라디미르 푸틴 / 러시아 대통령] <br>우리는 누구를 위협하지도 누구를 공격하지도 않을 겁니다. 하지만 무기로 위협하는 이들로부터 어떤 것도 빼앗기지 않을 겁니다. <br><br>두 번째는 저유가가 상당 기간 이어지면서 러시아 경제도 침체에서 못 벗어나고 있는데 다시 군사력을 앞세워 어떻게든 활로를 찾아보는 포석입니다. <br><br>가장 현실적인 이유는 이번 달 18일 대통령 선거가 있는데 강한 러시아와 패권 경쟁을 앞세워 내부 결속을 다지고 '푸틴 차르 시대'를 열겠단 의도도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] 푸틴의 행보, 미국 반응 만만치 않을 것 같은데요. <br><br>눈에는 눈, 이에는 이란 입장입니다. <br> <br>[샌더스 / 백악관 대변인] <br>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동맹이 직면한 위협에 대해 강력한 힘을 통해 조국과 평화를 지키기로 결심했습니다. <br> <br>냉전 이후 미소가 합의한 군축 협정을 러시아가 깼다며 미국도 힘에선 지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. 절대 미국 본토를 때릴 수 없고 방어할 수도 있다며 내년에도 7천억 달러의 국방예산을 배정해 국방력 강화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 중간 선거 앞두고 재향군인의날이 있는 11월에 열병식을 지시했습니다. 무려 300억 원을 들여서 한다는데 미국도 여기서 신무기를 대거 공개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[질문] 냉전 시대처럼 핵 군비 경쟁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실제로 신 냉전시대가 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는데요. <br><br>북한만 해도 골치 아픈데 러시아까지 신형 핵무기 꺼내 들면서 우리나라를 둘러싼 핵 군비 경쟁을 불가피해졌습니다. <br> <br>미국이 핵우산 제공 약속을 해도 북한의 핵 위협에다 쿠릴 열도 등 영토 분쟁 중인 러시아까지 이렇게 나오면서 일본 우익에서도 핵 무장 주장이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가장 안 좋은 시나리오는 과거 냉전처럼 한미일과 북중러 양 진영이 나눠 군비경쟁을 하는 상황인데 이 경우 북핵 문제도 블랙홀처럼 빨려 들어가 새로운 양상으로 흘러갈 공산도 큽니다. <br><br>네 말씀 잘 들었습니다. 지금까지 정치부 김성진 차장이었습니다.